경계성 고혈압, 약 먹기 전 알아야 할 것들

💓 경계성 고혈압, 약 먹기 전 알아야 할 것들

건강검진에서 “혈압이 조금 높네요. 경계선 수준입니다”라는 말을 들으면,

당장 약을 먹어야 하나 걱정이 앞섭니다. 하지만 지금은 되돌릴 수 있는 골든타임일 수 있습니다.

이미 고혈압약을 30대부터 먹고 있는 친구들도 친한모임 8명 중에 반 이상은 먹고 있습니다.

그에 비해서는 아직 경계성 고혈압은 바로 지금부터 관리하면 충분히 개선 될 수 있을 여지가 있습니다!

저도 역시 수년간 계속 경계성 고혈압의 범주에 머물러 있는 상태입니다. 쉽지 않겠지만 글을 한번 읽어보시고 노력해서 같이 개선해볼 수 있습니다!

이번 글에서는 경계성 고혈압의 기준,

실제 고혈압과의 차이,

그리고 생활습관으로 혈압을 낮추는 방법을 소개해드립니다.

이 글은 👉 정상인데 경계선? 건강검진 소견 해석 가이드 시리즈의 일부입니다.

(하단에 시리즈물과 다음글 링크를 참고해주세요.)


✅ 경계성 고혈압이란?

경계성 고혈압이란 정상혈압과 고혈압 사이,

즉 ‘아직 병은 아니지만 위험 신호가 감지된 상태’를 말합니다.

구분수축기 혈압 (mmHg)이완기 혈압 (mmHg)
정상< 120< 80
경계선(주의 단계)120~13980~89
고혈압(1기)140~15990~99
고혈압(2기 이상)≥160≥100

📌 혈압은 스트레스, 운동 직후, 긴장 상태에 따라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으므로,

정확한 진단은 여러 날 반복 측정한 평균치로 판단합니다.


🧠 왜 생기나요?

경계성 고혈압, 약 먹기 전 알아야 할 것들

경계성 고혈압은 주로 아래와 같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.

  • 짜게 먹는 식습관
  • 운동 부족
  • 복부비만, 과체중
  • 스트레스
  • 수면 부족 / 수면무호흡증
  • 가족력

💊 약을 먹어야 하나요?

결론부터 말씀드리면,

👉 경계성 고혈압 단계에서는 대부분 약물 없이도 생활습관만으로 관리 가능합니다.

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전문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:

  • 2년 연속 고혈압 경계선 유지
  • 심혈관 질환 가족력 있음
  • 콩팥, 눈, 심장 관련 합병증 우려

🥦 식습관 개선이 가장 빠릅니다

고혈압을 낮추기 위해 가장 우선되어야 할 것은 나트륨 줄이기입니다.

국물, 젓갈, 소금 많은 반찬 등은 혈압을 즉각 올릴 수 있습니다.

저도 예전에 비해서는 국물을 엄청나게 많이 줄인 상태입니다.

✅ 추천 음식

  • 칼륨 많은 채소류: 바나나, 시금치, 감자, 아보카도
  • 마그네슘/식이섬유 풍부한 곡물: 귀리, 현미
  • 저지방 단백질: 닭가슴살, 두부, 달걀

❌ 피해야 할 음식

  • 라면, 찌개, 국물류
  • 햄, 소시지, 베이컨
  • 짠 장아찌류, 치즈, 가공식품

🏃 생활습관 조절이 핵심입니다

경계성 고혈압, 약 먹기 전 알아야 할 것들
  • 주 3~5회 유산소 운동 (30분 이상 brisk walking)
  • 체중 감소: 체중 1kg 감소 시 수축기 혈압 1mmHg 개선 효과
  • 수면 7시간 이상 확보
  • 금연, 과음 자제
  •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명상, 호흡 훈련도 추천됩니다

🧪 개선 예시

변화 전변화 후 (3개월)
수축기 134mmHg / 이완기 88mmHg122 / 78
라면/찌개 자주 섭취싱겁게, 국물 줄이기
운동 없음주 4회 걷기 40분
수면 5시간7시간 이상 확보

📎 마무리

경계성 고혈압은 작은 생활습관 변화만으로도 충분히 개선 가능한 단계입니다.

이 시기를 잘 넘기면, 약 없이 평생 정상 혈압 유지도 가능합니다.

검진 결과가 걱정된다면, 지금부터 나트륨 섭취와 수면 습관부터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.

역시나 가장 쉬운 것은 수면보다는 나트륨 섭취를 더 빨리 더 많이 개선하실 수 있으실겁니다.

👈🏻이전글 : 경계성 고지혈증, 콜레스테롤 낮추는 현실적인 방법

👉🏻다음글 : 지방간 경도 소견, 이대로 두면 안 되는 이유